HELLO_HELL?

블로그 이미지

준P

[Unity3d] 리눅스에서 유니티로 게임을 개발해 보자!

Development/Unity3d 2016. 3. 3. 10:37

게임 서버나 몇몇 리눅스 매니아?분 들을 위하여 글을 작성 합니다?


리눅스에서 unity3d는 experimental로 유니티를 지원 해줌니다.


http://blogs.unity3d.com/kr/2015/08/26/unity-comes-to-linux-experimental-build-now-available/


에서 deb 파일이나 sh파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유니티는 따로 개발 코드를 작성하기위한 ide를 지원하지 않고 유니티를 지원하는 ide를 이용하여 개발을 해야 합니다.


허나 아직 리눅스에서 c#을 지원하는 ide는 딱히 이거다 하는 도구는 없습니다.


vscode가 유니티를 지원 해줌으로써 자동완성기능이나 디버깅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scode + unity3d + mono-complete로 작성이 가능합니다.


유니티에서 간단히 테스트를 할 프로젝트를 생성 합니다.


그리고 Assets 폴더에 git clone https://github.com/dotBunny/VSCode.git 으로 다운로드 받은 파일중 plugin 폴더를 넣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vscode하고 unity를 서로 연동을 해줍니다.


https://www.visualstudio.com/en-us/products/code-vs.aspx 에서 vscode를 다운로드 하고 설치가 가능합니다.


/opt 폴더에 바이너리 파일을 널고 /usr/share/application 폴더에 다음과 같이 작성 하여 .desktop 파일을 생성합니다.


[Desktop Entry]

Version=1.0

Type=Application

Name=VSCode

Icon=/opt/VSCode-linux-x64/resources/app/resources/linux/code.png

Exec=/opt/VSCode-linux-x64/Code %U

Comment=VSCode IDE

Categories=Development;IDE;

Terminal=false


그리고 유니티에서 vscode를 사용 하기 위해서는 /usr/bin 폴더에 심볼릭 링크로 등록을 해놔야 합니다.


심볼릭 링크를 등록 할때 Edit -> preferences에서 External Script Editor가 그냥 code 인지 Code인지 알아야 합니다.



VSCode 바이너리 실행 파일이 Code로 대문자로 되어 있어서 저 처럼 code로 되어 있는 경우 대소문자를 인식해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제 preferences에서 vscode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제 Assets -> sync MonoDevelop Project를 클릭 하여 vscode에서 프로젝트를 연동하여 사용 할수 있도록 합니다.


Asset -> open C# project in code를 클릭하여 vscode를 실행 합니다. 


vscode 오른쪽 밑이나 왼쪽 밑에 




불 모양의 버튼을 클릭 합니다. 



sln 파일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불러옴니다.


이제 vscode에서 개발이 가능 합니다. 허나 자동 완성 기능이 제공 되지 않아 개발하는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습니다.


mono-complete와 mono-devel를 설치하여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이 가능 합니다.


허나 apt-get 이나 yum으로 설치해서 사용 하게되면 vscode에서 버전이 낮아서 자동완성을 사용하실 수가 업습니다. vscode에서는 4.0.1 이상을 요구 하고 apt-get으로 설치를 하면 3.2버전이 설치가 됨니다.


http://download.mono-project.com/sources/mono/ 에서 소스코드를 받아와서 컴파일을 하여서 최신 버전을 설치를 하셔야 합니다.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앞축을 풀고


./confingure


make 


sudo make install


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제 vscode를 재실행 하면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면서 개발이 가능 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Posted by 준P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블로그 이미지

by 준P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트랙백
  • 더 보기

태그

글 보관함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HELLO? (157)
스터디 (6)
Windows 구조와 원리 OS를 관통하는 프로그.. (6)
Development (44)
Android (5)
Assembly (4)
C/C++ (11)
C# (0)
HTML (1)
JAVA (2)
JSP (3)
JS Script (2)
Linux Shell Script (2)
Open GL (1)
PHP (0)
Python (1)
QT library (3)
SQL (1)
Swift (1)
MongoDB (0)
Express JS (1)
Angular JS (1)
Node JS (1)
SpongePoweredForgePluginDev.. (2)
Unity3d (1)
Docker (0)
Linux (22)
Linux Kernel Study (1)
Network (9)
WireShark (1)
Network Theory (6)
Hack the packet 2013 (2)
Reversing (50)
Windows PE (10)
Windows Reversing (1)
Linux PE (0)
Linux Reversing (0)
Android Reversing (2)
Reversing Tools (8)
CodeEngn (25)
Reversing.kr (2)
abex's (2)
Sites (3)
System (12)
FTZ (9)
Buffer Over Flow (3)
GDGkr (1)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준P'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3 by 뭐하라
favicon

HELLO_HELL?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HELLO? (157)
    • 스터디 (6)
      • Windows 구조와 원리 OS를 관통하는 프로그.. (6)
    • Development (44)
      • Android (5)
      • Assembly (4)
      • C/C++ (11)
      • C# (0)
      • HTML (1)
      • JAVA (2)
      • JSP (3)
      • JS Script (2)
      • Linux Shell Script (2)
      • Open GL (1)
      • PHP (0)
      • Python (1)
      • QT library (3)
      • SQL (1)
      • Swift (1)
      • MongoDB (0)
      • Express JS (1)
      • Angular JS (1)
      • Node JS (1)
      • SpongePoweredForgePluginDev.. (2)
      • Unity3d (1)
    • Docker (0)
    • Linux (22)
    • Linux Kernel Study (1)
    • Network (9)
      • WireShark (1)
      • Network Theory (6)
      • Hack the packet 2013 (2)
    • Reversing (50)
      • Windows PE (10)
      • Windows Reversing (1)
      • Linux PE (0)
      • Linux Reversing (0)
      • Android Reversing (2)
      • Reversing Tools (8)
      • CodeEngn (25)
      • Reversing.kr (2)
      • abex's (2)
    • Sites (3)
    • System (12)
      • FTZ (9)
      • Buffer Over Flow (3)
    • GDGkr (1)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