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준P

게임 서버나 몇몇 리눅스 매니아?분 들을 위하여 글을 작성 합니다?


리눅스에서 unity3d는 experimental로 유니티를 지원 해줌니다.


http://blogs.unity3d.com/kr/2015/08/26/unity-comes-to-linux-experimental-build-now-available/


에서 deb 파일이나 sh파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유니티는 따로 개발 코드를 작성하기위한 ide를 지원하지 않고 유니티를 지원하는 ide를 이용하여 개발을 해야 합니다.


허나 아직 리눅스에서 c#을 지원하는 ide는 딱히 이거다 하는 도구는 없습니다.


vscode가 유니티를 지원 해줌으로써 자동완성기능이나 디버깅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scode + unity3d + mono-complete로 작성이 가능합니다.


유니티에서 간단히 테스트를 할 프로젝트를 생성 합니다.


그리고 Assets 폴더에 git clone https://github.com/dotBunny/VSCode.git 으로 다운로드 받은 파일중 plugin 폴더를 넣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vscode하고 unity를 서로 연동을 해줍니다.


https://www.visualstudio.com/en-us/products/code-vs.aspx 에서 vscode를 다운로드 하고 설치가 가능합니다.


/opt 폴더에 바이너리 파일을 널고 /usr/share/application 폴더에 다음과 같이 작성 하여 .desktop 파일을 생성합니다.


[Desktop Entry]

Version=1.0

Type=Application

Name=VSCode

Icon=/opt/VSCode-linux-x64/resources/app/resources/linux/code.png

Exec=/opt/VSCode-linux-x64/Code %U

Comment=VSCode IDE

Categories=Development;IDE;

Terminal=false


그리고 유니티에서 vscode를 사용 하기 위해서는 /usr/bin 폴더에 심볼릭 링크로 등록을 해놔야 합니다.


심볼릭 링크를 등록 할때 Edit -> preferences에서 External Script Editor가 그냥 code 인지 Code인지 알아야 합니다.



VSCode 바이너리 실행 파일이 Code로 대문자로 되어 있어서 저 처럼 code로 되어 있는 경우 대소문자를 인식해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제 preferences에서 vscode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제 Assets -> sync MonoDevelop Project를 클릭 하여 vscode에서 프로젝트를 연동하여 사용 할수 있도록 합니다.


Asset -> open C# project in code를 클릭하여 vscode를 실행 합니다. 


vscode 오른쪽 밑이나 왼쪽 밑에 




불 모양의 버튼을 클릭 합니다. 



sln 파일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불러옴니다.


이제 vscode에서 개발이 가능 합니다. 허나 자동 완성 기능이 제공 되지 않아 개발하는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습니다.


mono-complete와 mono-devel를 설치하여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이 가능 합니다.


허나 apt-get 이나 yum으로 설치해서 사용 하게되면 vscode에서 버전이 낮아서 자동완성을 사용하실 수가 업습니다. vscode에서는 4.0.1 이상을 요구 하고 apt-get으로 설치를 하면 3.2버전이 설치가 됨니다.


http://download.mono-project.com/sources/mono/ 에서 소스코드를 받아와서 컴파일을 하여서 최신 버전을 설치를 하셔야 합니다.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앞축을 풀고


./confingure


make 


sudo make install


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제 vscode를 재실행 하면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면서 개발이 가능 합니다.


Posted by 준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