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_HELL?

블로그 이미지

준P

리눅스의 파일/다이렉트 구조

Linux 2014. 10. 3. 00:25

리눅스에는 많은 폴더들이 있습니다.


그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겟습니다.




/ (root, 최상위 폴더)


리눅스의 최상위 폴더 이고 절대경로 지정시 기준이되는 다랙토리 입니다.


파티션설정시에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또한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bin


리눅스의 명령어를 담고있는 디렉토리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모든명령어가 들어 있습니다.




/sbin


/bin과 마찬가지로 명령어가 담긴 폴더


다른점은 시스템관리에 관령된 실행명령어들이 있는 디렉토리


시스템 점검 및 복구 시스템 초기화 및 종료 명령어등 시스템관리에 필요한 실행파일이 존재



/boot


리눅스가 부팅하는데 필요한 파일이 담겨 있다.


LINUX LOADER의 설정파일은 /etc/lilo.conf 에 있으며 lilo명령어는 /sbin/lilo 에 있다.


커널 이미지인 vmlinuz 가 위치하는데 lilo가 아닌 다른 부트로더는 모두 공통적으로 vmlinuz를 이용하여 부트하므로 매우중요하다.


이 폴더속 파일은 직접편집 불가능하며 커널 컴파일 등을 통해 생성이 된다.



/dev


각종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란다 이 폴더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블록 디바이스와 캐릭터 디바이스 가 있다.


블록 디바이스는 하드나 시디롬같은 주변장치 이고 테이터를 블록 단위로 읽는다.


캐릭터 디바이스는 입 출력이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진고 순차적으로 읽고 쓰여진다.



/etc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네트워크 관련 설정파일, 사용자 정보 및 암호정보, 파일 시스템 정보, 보안파일, 시스템 초기화 파일등 중요 설정 파일들의 위치한 디렉토리 


/etc/CORBA :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BRA)에 관한 파일이 들어있음. 


/etc/X11 : 엑스 윈도우 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 


/etc/cron.d : crontab 명령의 설정파일이 있음. 


/etc/cron.daily : 매일 작동하게 하는 crontab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 


/etc/gnome : GTK+ 정의파일들이 있음. 


/etc/httpd : 아파치 웹 서버의 설정 및 로그파일이 있음. 


/etc/logrotate.d : logrotate 설정 파일들이 있음. 


/etc/mail : 센드메일과 관련된 파일이 있음. 


/etc/ppp : ppp 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 


/etc/profile.d : 쉘 로그인 하여 프로파일의 실행되는 스크립트에 대한 정의가 있음. 


/etc/rc.d : 시스템 초기화와 관련된 스크립트가 존재. 


/etc/samba : 삼바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 


/etc/security : 터미널 보안에 관련된 설정이 있음. 


/etc/skel :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때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디렉토리와 파일이 있음. 


/etc/squid : squid 프록시 서버에 관련된 파일이 있음. 


/etc/ssh : secure shell 설정 파일이 있음 


/etc/sysconfig : 시스템과 네트워크 설정을 담고 있음. 


/etc/xinetd.d : 슈퍼데몬 xinetd.d의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디렉토리.



/home


이폴더는 사용자에 따라 생성이된다,


이폴더않에는 사용자 이름에 따라 만들어진 폴더가 있으며 사용자의 기본 다이렉트 이다.


/home/lost+found


이 폴더는 fsck명령어가 실행이되어 안에 잇던 파일이 갈곳이 없어졋을 떄 저장되는 폴더 입니다.


사용자가 없는 파일은 여기에 저장이되고 파일시스템을 점검할때 특수 목적으로도 사용이 된다.




/lib (비트)


프로그램들이 의존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파일이 존재합니다.


라이브러리는 32비트 64비트 마다 다르므로 두가지폴더가 있을 수 있다.


/lib/modules 에는 커널모듈 파일이 존제


대부분의 라이브러리 파일이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



/lost+found


이 폴더는 fsck명령어가 실행이되어 안에 잇던 파일이 갈곳이 없어졋을 떄 저장되는 폴더 입니다.


사용자가 없는 파일은


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부품에 대한 많은 논란과 당황 속에서 이동식 미디어에 대한 마운트 지점을 포함하는 디렉토리가 이제 생성 된 관리자. 충분히 재미있게, 그것은 / 매체를 선정되었습니다. 여기에 저장이되고 파일시스템을 점검할때 특수 목적으로도 사용이 된다



/media 


시스템 및 네트워크 이동식 미디어를 마운트 시키는 지점을 포함하는 디렉토리



/mnt


장치들이 마운트되는 디렉토리




Amid much controversy and consternation on the part of/proc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 가상 파일 시스템


cpu정보나 메모리정보 인터럽트정보를 볼 수 있다.


커널의 어떤 기능을 제어할수 있는 역활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이 읽기전용이고 쓰기가 가능한 파일이 있는데 특정값으로 변경하면 커널의 기능이 변하게 됨니다.


cat 명령어로 볼 수 있다.



/root


root 유저의 사용자 디렉토리 이다.


/tmp


임시 디렉토리로 임시 파일들의 간의 저장소 이다.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네트워크 관련 설정파일, 사용자 정보 및 암호정보, 파일 시스템 정보, 보안파일, 시스템 초기화 파일등 중요 설정 파일들의 위치한 디렉토리 


/etc/CORBA :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BRA)에 관한 파일이 들어있음. 


/etc/X11 : 엑스 윈도우 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 


/etc/cron.d : crontab 명령의 설정파일이 있음. 


/etc/cron.daily : 매일 작동하게 하는 crontab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 


/etc/gnome : GTK+ 정의파일들이 있음. 


/etc/httpd : 아파치 웹 서버의 설정 및 로그파일이 있음. 


/etc/logrotate.d : logrotate 설정 파일들이 있음. 


/etc/mail : 센드메일과 관련된 파일이 있음. 


/etc/ppp : ppp 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 


/etc/profile.d : 쉘 로그인 하여 프로파일의 실행되는 스크립트에 대한 정의가 있음. 


/etc/rc.d : 시스템 초기화와 관련된 스크립트가 존재. 


/etc/samba : 삼바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 


/etc/security : 터미널 보안에 관련된 설정이 있음. 


/etc/skel :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때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디렉토리와 파일이 있음. 


/etc/squid : squid 프록시 서버에 관련된 파일이 있음. 


/etc/ssh : secure shell 설정 파일이 있음 


/etc/sysconfig : 시스템과 네트워크 설정을 담고 있음. 


/etc/xinetd.d : 슈퍼데몬 xinetd.d의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디렉토리.


쓸데 없는 파일이 저장되기도 한다.



/usr


/usr 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많은 용량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여기에 깔린다.

/usr/X11R6

/usr/X11, /usr/X386 이 모두 /usr/X11R6 의 심볼릭 링크이다. /usr/X11R6/lib/X11 에는 X-윈도와 관련한 여러가지 파일 및 디렉토리가 있다.

/usr/bin

/bin 에서 짐작되듯이, 대부분의 사용자 실행 명령어들이 담겨 있다. gcc나 perl등의 개발도구도 여기에 담겨 있다.

/usr/doc

역시 doc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각종 리눅스에 관한 문서들이 담겨 있다. 책 사는 데 돈이 아까우신 분들은 이 디렉토리를 이용하면 좋을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최신버젼의 문서를 보길 원한다면 kldp.org(Korea Linux Documentation Project)를 방문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usr/include

C, C++ 프로그램의 헤더 파일들이 담겨 있다.

/usr/info

여기에는 여러가지 GNU 프로그램들(gcc, make, autoconf...)의 info 파일들이 담겨 있다. 이 디렉토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단순히 'info 프로그램 - ex) info gcc -'라고 치면 된다. 상당히 유용하므로 기본적으로 알아두자.

/usr/local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곳으로 프로그램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ake install로 프로그램 설치시 기본 디렉토리가 대부분 /usr/local 로 되어 있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windows 의 programfiles 폴더와 비슷하다.

/usr/man

info 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메뉴얼 페이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역시 'man 프로그램'을 쳐서 이용할 수 있다. 모르는 명령어들은 꼭 한 번씩 man으로 확인하는 습관을 갖길...

/usr/src

프로그램 소스들이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리눅스 커널이 위치하고 있는 곳이다.


/var


시스템 작동중에 변경이 되는 파일들이 담겨있다 주로 로그 파일이나 웹서버 폴더와 같은 스풀 파일들이 저장된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esktop 파일 만들기  (0) 2015.12.01
deb 패키지 만들기  (0) 2015.07.28
리눅스 명령어) chkconfig 명령어  (0) 2014.09.28
리눅스 명령어) strings  (0) 2014.09.25
리눅스 명령어) xxd  (0) 2014.09.24
Posted by 준P
블로그 이미지

by 준P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트랙백
  • 더 보기

태그

글 보관함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HELLO? (157)
스터디 (6)
Windows 구조와 원리 OS를 관통하는 프로그.. (6)
Development (44)
Android (5)
Assembly (4)
C/C++ (11)
C# (0)
HTML (1)
JAVA (2)
JSP (3)
JS Script (2)
Linux Shell Script (2)
Open GL (1)
PHP (0)
Python (1)
QT library (3)
SQL (1)
Swift (1)
MongoDB (0)
Express JS (1)
Angular JS (1)
Node JS (1)
SpongePoweredForgePluginDev.. (2)
Unity3d (1)
Docker (0)
Linux (22)
Linux Kernel Study (1)
Network (9)
WireShark (1)
Network Theory (6)
Hack the packet 2013 (2)
Reversing (50)
Windows PE (10)
Windows Reversing (1)
Linux PE (0)
Linux Reversing (0)
Android Reversing (2)
Reversing Tools (8)
CodeEngn (25)
Reversing.kr (2)
abex's (2)
Sites (3)
System (12)
FTZ (9)
Buffer Over Flow (3)
GDGkr (1)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준P'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3 by 뭐하라
favicon

HELLO_HELL?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HELLO? (157)
    • 스터디 (6)
      • Windows 구조와 원리 OS를 관통하는 프로그.. (6)
    • Development (44)
      • Android (5)
      • Assembly (4)
      • C/C++ (11)
      • C# (0)
      • HTML (1)
      • JAVA (2)
      • JSP (3)
      • JS Script (2)
      • Linux Shell Script (2)
      • Open GL (1)
      • PHP (0)
      • Python (1)
      • QT library (3)
      • SQL (1)
      • Swift (1)
      • MongoDB (0)
      • Express JS (1)
      • Angular JS (1)
      • Node JS (1)
      • SpongePoweredForgePluginDev.. (2)
      • Unity3d (1)
    • Docker (0)
    • Linux (22)
    • Linux Kernel Study (1)
    • Network (9)
      • WireShark (1)
      • Network Theory (6)
      • Hack the packet 2013 (2)
    • Reversing (50)
      • Windows PE (10)
      • Windows Reversing (1)
      • Linux PE (0)
      • Linux Reversing (0)
      • Android Reversing (2)
      • Reversing Tools (8)
      • CodeEngn (25)
      • Reversing.kr (2)
      • abex's (2)
    • Sites (3)
    • System (12)
      • FTZ (9)
      • Buffer Over Flow (3)
    • GDGkr (1)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